본문 바로가기
토미출의 성장일기/경제(Eco.)_Thur

경기순환사이클 2022년 어느 국면에 놓여있나? (Feat, 경기순환사이클 OECD 물가지수 관계, 현 경기순환사이클 수혜주)

by 토미출(tomichul) 2022. 8. 9.

직장인 여러분,

대한민국은 금리, 소비자물가지수, 무역수지 적자 등을 두고 '사상 첫 빅 스텝, 외환위기 이후 23년 만에 최고치, 금으로 벌 금융위기 이후 14년 만에 처음' 같은 어휘들이 각종 새 경제 지표를 연일 수식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기준금리를 지속해서 인상하는 상황이고, 한국 또한 소비자물가지수가 6%를 달리고 있는 지금 우리는 과연 경기순환 병동 국면은 사이클상 어느 지점에 와 있을까요? 중앙은행의 고강도 통화긴축과 고물가 영향이 하반기부터는 완만한 경기 침체가 시작될 거라는 우려 또한 나오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실물경기를 보면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진 회복. 확장세가 서서히 후퇴 국면에 들어서고 있습니다.

금리. 물가 영향에 따른 전반적인 경제활동 둔화로 성장 흐름 모멘텀이 약화하고 있지만, "완만하든 급격하든 경기 침체가 이미 진행 중"이라는 일각의 판단은 다소 성급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럼 우리가 현재 2022년 경기순환사이클」은 어떻게 될까요? 한 번 자세히 알아보시죠.

 

- 경기순환사이클 정의와 작동 방식

 

[경기순환 사이클(Business Cycle) 정의]

경기순환은 팽창, 성장, 위축, 불황 사이의 경기 변동을 나타냅니다.

국내총생산 (Growth Doemstic Producer, GDP), 금리, 고용 그리고 소비자 지출과 같은 요소들은 경제 순환의 현단계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경기순환 사이클(Business Cycle) 작동 방식] 경기 순환에는 4가지 단계들이 있습니다.

 

(확장기, Expansion) 장기 추체성을 상회하면서 상승, 1사분면

(후퇴기, Recession) 장기추세선을 상회하면서 하락, 2사분면

(수축기, Contraction) 장기 추체성을 하회하면서 하락, 3사분면

(회복기, Revival) 장기 추체성을 하회하면서 상승, 4사분면

 

- 경기순환사이클 vs 물가지수 관계

 

「물가지수와 경기순환사이클」 국면을 나누는 단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확장기, Expansion) 경기 + , 물가 + : 경기 상승, 물가 상승

(후퇴기, Recession) 경기 -, 물가 + : 경기 하락, 물가 상승

(수축기, Contraction) 경기- , 물가- : 경기 하락, 물가 하락

(회복기, Revival) 경기 +, 물가 - : 경기 상승, 물가 하락

 

2022년 물가지수 확인 결과 '후퇴기'에 위치해 있는 상황입니다.

- 경기순환사이클 vs OECD 경기선행지수 관계

 

「OECD 경기선행지수는 경기순환 사이클」 국면을 나누는 단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확장기, Expansion) 100pt 상회 + 상승 추세

(후퇴기, Recession) 100pt 상회 + 하락 추세

(수축기, Contraction) 100pt 하회 + 하락 추세

(회복기, Revival) 100pt 하회 + 상승 추세

 

2022년 OECD 경기선행지수로 확인 결과 '후퇴기 & 수축기' 사이에서 위치해 있는 상황입니다.

 

- 짧아진 경기순환사이클

 

외환위기 이후 한국경제의 경기 사이클의 주기가 짧아지고 변동성이 높아졌다고 우려하였습니다.

특히 경기순환의 단기화는 경제활동의 위축을 유발하여 향후 성장기반을 제약하는 악순환이 될 수 있습니다.

경기 순환의 양상이 변화하는 원인은 총 4가지로 말할 수 있습니다.

 

첫째, 경기 침체에서 탈출하기 위해 경기 부양책이 버블 형성으로 이어져 경기의 급등락이 발생

둘째, 외환위기 이후 민간 소비의 변동성이 크게 높아지면서 경기의 안전핀 기능 상실

셋째, 수입의존도가 높고 고용유발효과가 작은 IT 부문의 비중이 확대되면서

수출과 내수 간 연결고리가 약화되어 수출 증가에서 투자 확대, 소비 증가로 이어지는 선순환 발생이 안됨

넷째, 한국경제의 대외 의존자가 높아지고, 특정 산업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면서

해외 경기나 산업의 경기 상황 등 대외 부문의 충격에 취약한 모습을 보임

 

- 경기순환사이클 섹터 수혜주

[경기순환 사이클 수혜주] 사이클 마다 수혜주는 다릅니다. 한 번 알아보시죠.

 

(확장기, Expansion)

소비자 활발해지고, 소비가 활발해진 만큼 생상. 고용 등 전반적인 경제활동이 활발해지는 시기.

경기 성장의 정점이라고 불리는 구간.

▶ IT, 커뮤니케이션

 

(후퇴기, Recession)

호황일 때 생산 선비, 소비를 늘리다 보면 경제활동이 기초 체력보다 과열되는 순간.

과열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워지며 경기 후퇴 국면을 맞이함.

▶ 원자재, 필수소비재, 헬스케어

 

(수축기, Contraction)

경제활동이 완전히 침체해서 수축기에 진입. 활황기 고용됐던 사람들이 해고, 가계 소득 감소.

소비자는 소비활동 줄이고, 기업의 생산. 고용이 하지 않는 악순환 반복

▶ 유틸리티, 필수소비재, 헬스케어

 

(회복기, Revival)

경제 활동이 회복되고, GDP가 증가하는 시기입니다. 저물가 저금리로 가계 소비를 점점 늘리고,

기업도 생산량을 늘리며 투자 시작. 정부는 경기 부양 정책 시작.

▶ 임의소비재, 리츠, 금융, IT

 

 

- 경기순환사이클 현 위치와 수혜주

 

현재 2022년은 경기 사이클 중 어디에 위치해 있을까요?

 

개인적 그리고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 보면 '후퇴기(Recession)'입니다.

경기 물가지수 + OECE 경기선행지수를 분석했을 때 겹치는 부분은 후퇴기입니다.

 

이 국면에서 투자해야 할 정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원자재]

「XLE」 S&P 500 내 미국 시가총액 상위 석유에너지 기업을 담은 ETF입니다.

엑손모빌(XOM) 23.07% / 쉐브론(CVX) 22.19% / 코노코필립스(COP) 4.56%

 

상위 TOP3 종목 이 외에도

옥시덴탄페트리움(OXY), EOG 리소시스(EOG),슐룸베르거(SLB) 등이 있습니다.

 

[필수소비재]

「XLP」 S&P 500 내 미국 시가총액 상위 필수소비재 기업을 담은 ETF입니다.

▶프록터 엔드 겜블(PG) 15.06% / 코카 몰카(KO) 10.73%

▶펩시코(PEP) 10.47% / 코스트코(COST) 10.39%

 

상위 TOP4 종목 이 외에도

월마트(WMT),필립모리스(PM),몬덜리즈 인터내셔널(MDLZ) 등이 있습니다.

 

[헬스케어]

「XLV」 S&P 500 내 미국 시가총액 상위 필수소비재 기업을 담은 ETF입니다.

유나이티드헬스케어(UNH) 10.13% / 존스 앤 존스(JNJ) 9.09%

▶화이자(PFE) 5.58% / 에 부비(ABBV) 4.92%

 

상위 TOP4 종목 이 외에도

엘리 릴리 앤 컴퍼니(LLY),써 모피 셔 사이언티픽(TMO), 머크(MRK) 등이 있습니다.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