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미출의 성장일기/경제(Eco.)_Thur

직장인은 월급 말고 원달러 환율 알아야 부자 된다(Feat, 달러화 강세가 원 달러 환율 미치는 영향, 원 달러 환율 1300원)

by 토미출(tomichul) 2022. 8. 4.

직장인 여러분,

30대 이상 직장인 동지 여러분, 1997년 IMF 외환위기, 2001년 닷컴 버블, 2009 글로벌 금융위기 세계경제 침체 등 주식시장을 요동치게 만들었던 이 3가지 사건들 기억하시나요? 2022년 현재 앞에 3가지 사건과 동일하게 흘러가고 있는 하나의 이벤트가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원달러 환율 1300원]입니다.

최근 원달러의 환율이 이렇게 올라간 것은 경기 침체 문제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강달러의 흐름으로 인해 원화가 약세로 이어진 것 아니냐라고 생각합니다. 원화 약세는 수출 위주의 국가인 대한민국에는 크나큰 악재인데요.

도대체 원 달러 환율이 이렇게 올라가면 우리나라는 어떠한 영향을 받길래 많은 걱정을 하고 있을까요. 그리고 토미 출 은 왜 월급 말고 원 달러 환율을 알아야 부자가 된다고 말하고 있을까요. 함께 차근차근 알아가보시죠.

원달러 환율 의미 뜻

 

[원-달러 환율] 1달러에 원화가 얼마가 교환될 수 있는가를 의미합니다. 현재 8월 2일 기준 1309원으로 1달러 교환이 가능합니다. 그만큼 많은 돈을 줘야 달러라는 미국 돈을 살 수 있다는 뜻이죠.

원달러 환율 상승 & 하락 의미

 

환율은 자국 통화와 다른 나라 통화와 교환비율입니다. 그 말은 즉, 한 국가의 통화가치의 상승은 다른 나라 통화가치의 하락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원달러 환율 상승]은 아래의 메커니즘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달러 원 가치 상승 > 달러화 가치 상승(달러 강세) > 원화 가치 하락(원화 평가절하)

[원달러 환율 하락]은 아래 메커니즘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달러 원 가치 하락 > 달러화 가치 하락(달러 약세) > 원화 가치 상승 (원화 평가절상)

달러화 강세 특별한 이유

 

2022년 강달러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 중에서 [달러화 강세 대표적인 이유를 1가지] 알아보시죠.

[FOMC 금리 0.75% 인상으로 한. 미 기준금리 역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장기화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공급 부족에 따른 고물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물가를 잡기 위해 FED의 공격적인 긴축은 달러화 강세를 부추 겼습니다.

현재 8월 3일 기준 달러 지수는 106.25로 0.02% 상승하였습니다. 최고 Peak보다는 조금 떨어진 형국입니다.

달러화 가치가 상승하면 미국 기업은 이득?

 

보통 달러의 가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많은 돈을 더 벌 거라고 생각하지만 그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달러화 가치가 상승하면 미국 기업들이 해외에서 벌어드린 매출은 달러화를 환전했을 때 금액이 줄어드는 현상을 발견합니다. 실제로 S&P 500에 포함된 기업의 매출의 악 40%는 해외에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2분기 실적 발표 때 (마이크로소프트)(알파벳)(메타) 등의 실적이 잘 나오지 않았던 이유와 컨센서스를 하향한 이유도 이러한 문제 때문입니다.

달러화 가치 상승에 피해를 본 기업인[마이크로소프트]는 국외 매출 비중이 5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중국 봉쇄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사업을 정리하는 듯 큰 이슈들의 발생으로 손해를 보았습니다.

달러화 강세 상황에서 직장인 투자 전략

 

미국 달러화 강세 영향으로 대한민국의 외화보유액 하락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안전자산인 달러에 돈이 모이고 있습니다. 그럼 우리는 어떠한 전략으로 달러화 강세 상황에 투자를 해야 할까요? 이미 강세 상황을 생각하고 투자하기보다는 반대 투자 전략을 선호합니다.

미국 국채금리가 하락하는 가운데 [중국 부양 부양 기대][유럽중앙은행의 긴축적인 스탠스]는 환율 및 달러화 안정화를 찾으며 국내 증시를 떠났던 외국인 투자자들이 돌아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환율 흐름과 외국인의 수급을 동조화하기 때문에 올해 시가총액 상위 중심으로 매도세가 이어졌고 총 11조 이상 팔린 외국인 금액이 빠지면서 지수 하락을 견인하였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역사적으로 저 PER PBR 구간에 위치한 [삼성전자][현대자동차][기아][SK하이닉스][현대모비스] 등은 투자 타이밍을 잡는데 좋은 시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듭니다.

대표적 기업 중 [기아]로 기업 상황을 확인해 보시죠.

2021년 초 폭발적인 거래량으로 100,000원의 전 고점을 돌파했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 글로벌 경제 및 한국 또한 긴축정책을 펼치면서 유동성이 미국으로 옮겨가며 지속적인 하락을 면치 못했죠. 하지만, 달러 강세의 끝은 경기순환 관점에서 곧 하락을 뜻하며, 빠졌던 외국인 자금이 들어오게 된다면 시가총액이 큰 기아 같은 기업들에게 몰릴 것으로 예상합니다. 현재 기아는 [PER 5] 수준, [PBR 0.81]입니다. 매출액은 전기차 및 PBV 사업 와 확정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저점 위치에서 다음 상승기를 기다려 보시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