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토마스와 함께하는 미래로 출발하기 토미출 입니다.

오늘 같이 이야기 할 내용은 미국의 PPI(Producer Price Index)라고 부르는 생산자물가지수 입니다.
그럼 이번역 'PPI' 출발합니다.
※ 목차
1. PPI 정의와 종류
2. PPI 지표
3. PPI 급등 원인
1. PPI 정의와 종류
생산자가 물건과 서비스를 만드는데 사용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가격이라는 뜻 입니다.
PPI 는 세 가지 영역으로 분류 할 수 있습니다.
PPI Commodity Index
에너지.석탄.원유와 같은 원자재 평균 가격 변동 지표.

PPI Stage of Processing Index
디젤 연료.목화.목재.강철과 같은 완제품을 생산 하는데 필요한 중간재의 평균 가격변동.

PPI Industry Index
제조광정 중 최종 단계에 해당하는 완제품의 가격변동.

위의 3가지 PPI로 확인 했을때는 생산자 물가지수의 지속적인 상승을 보여주고있습니다.
그말은 즉 인플레이션의 지속적인 유지를 의미 할까요?
또한, 토미출은 3가지 PPI에 대해서만 언급했지만 실제로는 더 많은 PPI종류의 INDEX가 존재 한다는 사실!

3가지 PPI 이외도 여러가지 지표들 존재


3. PPI 급등 원인
미국 생산자 물가 급등의 원인
What Shortage ?
생산자 물가 상승 압력은 원자재/초기 중간재 생산에 해당하는 1단계 PPI에서 비롯되어 순차적으로 2~4단계, 최종수요 물가에 영향을 줬고, 소재 중심으로 상승하였습니다.

전방위적 인플레 압력 확대 우려 증가
시장에서는 인플레이션의 대한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1)WTI 국제유가가 2022.06 기준 120달러는 넘어섰고 2)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제한적인 부품/자재의 공급 이 말 은 즉 생산자가 상품과 서비스를 공급할 때 더 많은Cost가 필요하게 됩니다.
제조업 중심의 생산자물가 압력
전쟁으로 인한 공급의 병목 현상은 ISM 제조업 가격 지수의 상승을 주도 하였고, 제조업 생산자물가 지수는 그에 상응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토미출의 생각 정리 하기
2022.5월 Core PPI 9.6% 에서 8.8% 약간 하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래서 시장은 인플레이션이 점점 잡히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는 상황 입니다. 하지만 아직도 높은 수준의 PPI는 시장상황을 낙관적으로 전망하기는 어려움이 따릅니다.

이러한 높은 PPI는 2가지의 악재의 원인에서 기인하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CPI와 동일)
1. 러-우크라이나 전쟁 : 러시아는 원유 생산량 3위를 차지고 하고 있습니다. 원유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말은 중간재.최종재에 달하는 모든제품이 공급이 줄어들었기 떄문에 가격 상승으로 전가 되게 됩니다. 생산자 입장에서는 상승한 물품의 가격을 고객에게 인가 해야 되지만 PCE의 감소를 걱정하여 진퇴양난의 모습입니다.
2. 중국 상하이 봉쇄 (6월 1일 이전) : 상하이 봉쇄는 세계 최대의 컨테이너 항구를 제대로 사용 할 수 없다는 말이며, 화물 이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이 말은 공급망에서 오는 물품을 제대로 공급받아서 생산하는 생산자의 입장에서 수요는 많지만 공급이 적어 가격 상승의 원인이 되고 악순환의 반복 입니다.
하지만 PPI 감소하며 인플레이션이 잡힐 것이라는 시장에 의견도 있는데요, 그 이유는
1. #OPEC+ 증산 합의 : 7월 부터 하루 64만8천배럴 증산하기로 합이 했습니다. 이 증산량은 기존의 43만 2000배럴의 50% 가량 많은 양 입니다. 이 말은 즉 원유 생산량을 늘리므로서 치솟은 에너지 가격 안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2. 중국 상하이 봉쇄 해제 (6월 1일 이후) : 상하이의 '전면적 정상화' 추진은 글로벌 공급만 혼란이 개선 되므로 생산자 입장에서는 원활한 제품 수급으로 제작 비용의 절감으로 나타 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개선 체감 시간까지는 1~2개월 정도가 소요 될 것으로 예상해서 시간을 두고 기다려 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럼 다음역에서 만나요.
감사합니다.
'토미출의 성장일기 > 경제(Eco.)_Thu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섹터 11개 구분해서 투자 대장주 종목 찾기 (Feat, 섹터별 수익률 섹터 산업 비중 및 경기순환 사이클) (0) | 2022.08.02 |
---|---|
[경제] 저성장 고물가 슬로우플레이션 Slowflation 뜻 위험 신호 (feat, 미국 스테그플레이션 차이점은?) (0) | 2022.07.14 |
[경제용어] CSI (Consumer Sentiment Index) : 소비자심리지수 (07/07/2022) (0) | 2022.07.07 |
PCE(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 개인소비지출(06/23/2022) (0) | 2022.06.23 |
PMI(Purchasing Managers Index) : 구매관리자지수(06/16/2022) (0) | 2022.06.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