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제용어] BEI(Break Even Inflation) : 기대인플레이션(06/30/2022)

by 토미출(tomichul) 2022. 6. 30.

안녕하세요,

토마스와 함께 미래로 출발하기 토미출 입니다

오늘 이야기 주제는 BEI(기대인플레이션) 입니다.

그럼 이번역 "BEI(기대인플레이션)" 출발 합니다.

※ 목차

1. 기대인플레이(BEI) 정의

2. 기대인플레이션(BEI) 계산식

3. 기대인플레이션(BEI) 도표

4. 기대인플레이션(BEI) 뉴스기사

 

 

 


  1. 기대인플레이션(BEI) 정의

기대인플레이션은 경제 주체들이 품고 있는 물가에 대한 전망으로, 기업 및 가계 등 경제 주체들이 예상하는 미래의 물가상승률을 말한다. 보통 BEI의 하락추세에는 가치주에 투자 하는 것이 유리하고, 상승추세에는 성장주를 투자 하는것 이 유리하다.

인플레이션이 강하게 예측되는 경우 3가지 시나리오로 흘러가게 됩니다.

  • 인플레이션은 금리상승으로 이어져 국고채 대한 수요 하락 및 국고채 금리 상승
  • TIPS에 대한 수요 상승 및 TIPS 금리 하락
  • BEI 스페레드 상승

만약 인플레이션이 줄어 든다면

  • TIPS에 대한 수요 하강 및 TIPS 금리 상승
 

 


2. 기대인플레이션(BEI) 계산식


 

기대인플레이션 율의 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10년물) BEI(Breakeven Inflation Rate) = (10년 만기) 명목 국채 수익률 - (10년 만기) 물가연동국채 수익률

(10년 만기) 물가연동국채를 다른말로는 TIPS라고 부릅니다. TIPS란, Treasury inflation Protected Securities)

으로 채권의 원금과 이자가 물가지수에 연동되어 변동하는 국채 입니다.

토미출은 조금더 간단히 이해 하기 위해서 나름만에 정의로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명목금리 = 실질금리 + 기대인플레이션율 이라고 이해 합니다.

 


 

※ 잠깐! 이 단어 는 무엇인가요?

  • 명목금리 : 물가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금리
  • 실질금리 : 물가변동을 고려한 금리


 

여기서 실질금리 = 명목금리 - 기대인플레이션율 으로 식을 고쳐 줍니다.

토미출은 명목금리를(10년국채수익률)로, 기대인플레이션율을 (소비자물가)로 이해 합니다.

예를 들면,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가 1.7% , 소비자 물가가 8.5% 입니다. 현재 기준 (-)Spread 가 많이 벌어져 있고 그것은 곧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많다고 의미합니다. 그래서 Fed 는 이 (+) Spread 를 위해서 금리 인상하여 물가를 잡으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기준금리는↑ 물가는 ↓되어 실질금리가 안정을 찾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지금 상황을 1970년대 미국의 연준 의장인 폴 볼커 시절가 비교를 많이 합니다. 그 때 당시에도 높은 인플레이션을 맞이 한 적이 있고, 그것을 공격적인 금리인상으로 잡아 냈기 때문입니다. 이 때에 시기를 우리는 더블드래곤 이라고 부릅니다. 이 의미는

  • 더블드래곤 = 인플레이션 + 기대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으로 물가가 오르게 되면, 사람들의 기대인플레이션 심리가 잘 죽지 않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물가국면을 잘 조절 하더라도 성장이 둔화되여 디플레이션 상태에빠지게 될 수 있습니다.

  • 물가 상승 -> 기대인플레이션 장기간 상승 -> 금리 인상 -> 성장 둔화 -> 기대인플레이션 심리가 잘 죽지 않음 -> 성장 둔화 가속화 -> 디플레이션

현재 일본이 처해 있는 상황이 지금 이런 상황가 비슷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3. 기대인플레이션(BEI) 도표


 

그럼 위에 식에서 나타난 각각의 지표를 2022년6월 기준 그래프를 통해서 확인해 보겠습니다.

  • (10년 만기) 명목 국채 수익률
10-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Rate _ FED홈페이지 출처
  • (10년 만기) 물가연동국채 수익률
10-Year Treasury Inflation-Indexed Bond_FED홈페이지 출처
  • (10년물) 기대인플레이션율(BEI)
10-Year Breakeven inflation Rate _ FED홈페이지 출처 ​
 
 
 

10-Year Breakeven Inflation Rate

Sourc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elease: Interest Rate Spreads Units:  Percent, Not Seasonally Adjusted Frequency:  Daily Notes: The breakeven inflation rate represents a measure of expected inflation derived from 10-Year Treasury Constant

fred.stlouisfed.org

기대인플레이션은 장기적인 사람의 심리를 자극하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꼭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BEI 와 함께 연동 하는 2가지 지표가 있습니다.

  • 10년물 BEI와 소비자물가지수(CPI)
  • 10년물 BEI와 국제유가(Crude Oil Prices : WTI)

1. 10년물 BEI와 국제유가(Crude Oil Prices : WTI)

아래지표는 10년 BEI와 WTI를 나타낸 모습입니다. 실제로 소비자물가지수와 제일 크게 연동되는 WTI 가 상승 하면 BEI Spead 가 벌어지는 모습을 볼수 있습니다.

BEI _ FED 홈페이지 참조
WTI 지표 _ FED 홈페이지 참조

 

4. 기대인플레이션(BEI) 뉴스기사


 

 

 

토미출의 생각 정리 하기


 

연준의장 파월이 지속적으로 FOMC 정례회의 에서 하는 말이 있습니다. 기대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는 금리를 올리겠다는 말 입니다. 기대인플레이션이라고 생각하면 '인플레이션이 잡히면 잡히는 것 아냐?' 하실수도 있지만 인플레이션은 금리 인상을 공격적으로 하게되면 성장은 둔화되지만 물가는 잡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사람들의 심리는 물가는 이제 안정화 됬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기대인플레이션이 사람들의 머리속에서 떠나지 않는다면 사람들의 소비 심리는 지속적으로 감소해서 결국 디플레이션(물가 하락,화폐 가치 상승)이라는 결과를 초래 하게 됩니다.

과연 파월 연준의장은 기대인플레이션을 잡을 수 있을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그럼 다음역에서 만나요.

감사합니다.

댓글